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28

컴포넌트 언마운트 시 타이머 정리 "컴포넌트 언마운트 시 타이머 정리”라는 문구는 React 컴포넌트가 사라지거나 더 이상 렌더링되지 않을 때, 이전에 설정된 타이머나 기타 리소스를 적절하게 해제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. 상세 설명: • 컴포넌트 언마운트(Component Unmount): • React 컴포넌트가 더 이상 화면에 표시되지 않거나, 부모 컴포넌트가 언마운트될 때 발생하는 이벤트입니다. 이 경우, 해당 컴포넌트는 “언마운트” 상태가 됩니다. 예를 들어, 조건부 렌더링을 통해 컴포넌트를 제거하거나 페이지 전환 시 컴포넌트가 교체될 때 발생합니다. • 타이머 정리(Clearing Timer): • setTimeout이나 setInterval 같은 타이머를 설정한 경우, 타이머가 계속 동작하다가 컴포넌트가 언마운트되면 불필요한 코.. 2024. 8. 22.
JS: iterable 객체 iterable 사전뜻: 반복 가능한  Iterable 객체는 자바스크립트에서 반복 가능한 객체를 의미하며, 배열, 문자열, 맵(Map), 세트(Set)와 같이 반복할 수 있는 모든 객체를 포함합니다. 이러한 객체는 반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특수한 메서드를 가지고 있습니다. 주요 특징  1. Symbol.iterator 메서드: • 모든 iterable 객체는 Symbol.iterator라는 특수한 메서드를 가지고 있습니다. • 이 메서드는 iterator를 반환합니다. iterator는 반복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next 메서드를 가지고 있습니다. 2. Iterator 프로토콜: • iterator는 next 메서드를 통해 반복 작업을 수행합니다. • next 메서드는 {value: ..., .. 2024. 7. 26.
오늘은 아들 생일 고생했네 우리 2024. 7. 25.
JS: lexical scope lexical 사전적 뜻 : 1.어휘의, 사전(편찬)의(cf. GRAMMATICAL) 개발적으로는.. 렉시컬 스코프(lexical scope)는 자바스크립트와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변수가 어디에서 정의되었는지에 따라 그 변수의 유효 범위(scope)를 결정하는 방식입니다. 렉시컬 스코프는 코드가 작성된 시점(정적 스코프)에서 변수의 스코프를 결정하며, 실행 시점에서는 변수가 어디에서 호출되었는지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. 렉시컬 스코프의 주요 개념  1. 정적 스코프: • 렉시컬 스코프는 코드가 작성된 위치에 따라 스코프가 결정됩니다. • 코드가 실행될 때가 아니라 작성될 때 스코프가 결정됩니다.  2. 함수 스코프: • 함수 내부에서 정의된 변수는 함수 내부에서만 접근할 수 있습니다. • 함수 밖에서.. 2024. 7. 24.